■ 납중독
세계에서 가장 많다고 알려진 금속 중독! 납!
납은 로마제국을 멸망시킨 원인으로 분석되어질 만큼 무서운 중금속이다.
당시 로마의 왕이나 귀족들은 포도주를 즐겨 마셨는데, 문제는 포도즙을 이 ‘납’ 항아리에 담아 발효를 시켰다고 한다. 납 항아리에서 발효시킨 포도주 한 숟가락은 만성 납중독을 일으키고도 남을 만한 양이었다고 한다.
또한 로마의 역사상 폭군 네로 황제의 잔혹하고 폭력적인 성격이 바로 납중독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실험으로 외국에서는 학교나 가정에서 심각하게 문제가 되고있는 다동아, 즉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아이들의 소변을 검사한 결과 정상아에 비해 2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됐다고 한다. 이 납이 체내에 장기 축적되면 사지마비, 실명, 정신장애, 기억력 손상 등의 심각한 뇌질 환을 일으키고, 그 중 25%는 목숨을 잃기도 한다.
■ 사과의 효능
▷사과는 보호막을 만들어 유독 물질의 흡수를 막는다.
실제로 1989년 <한국식품과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사과의 주요성분을 농도가 낮은 납 용액에 투여한 결과 납의 흡수를 감소시켰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납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납의 흡수가 크게 억제되었다고 한다.
▷사과에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우리 몸에서 금속을 흡착하거나 독성무기물과 결합하여 그 흡수를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즉, 식이섬유가 풍부할수록 해독작용을 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된다. 사과 100g에 들어있는 식이섬유의 함유량은 애호박의 2배 이상, 오렌지보다 4배 이상으로 많다.
▷1997년 <대한환경공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사과의 껍질을 사용하여 폐수 중 유해중금속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사과의 껍질은 납성분의 95.3%의 제거율을 보였다고 한다.
▷뇌질환에 효과적인 사과
핀란드 국립보건연구원의 파울 크네크트 박사는 임상영양학 최신호에서 9000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28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하루에 사과를 1개정도 먹는 남녀는 사과를 가장 적게 먹는 남녀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사과에 대한 궁금증
▷ 사과껍질에 납제거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평소 먹듯이 껍질을 벗겨먹으면 전혀 효능이 없을까?
사과의 펙틴 성분은 해독작용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섬유질! 사과는 껍질에 훨씬 많은 펙틴이 들어있다! 그러므로 사과의 껍질을 함께 먹는 것이 해독작용에 도움!
그 뿐만 아니라, 사과의 비타민 C의 대부분은 껍질과 껍질 바로 밑의 과육에 함유되어 있는 등 영양분 및 당분이 대부분 이 부분에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
▷사과를 고를 때 무조건 겉모양이 좋고 상처가 없는 걸로 고르게 되는데,
어떤 게 신선하고 좋은 사과인지?
겉모양이 깨끗한 사과는 봉지를 씌운 것으로 영양과 맛이 떨어지고 외피가 거친 것이 당분과 비타민 함량이 높고 맛이 좋다고 평가한다. 조생종 연두색 사과는 전체적으로 색깔이 고울수록 잘 익은 것이며 붉은 사과(부사)는 밑 부분에 붉은 색이 돌고 윤기가 흐를수록 맛이 있다! 또, 과실 꼭지가 푸른색이 돌고 물기가 있는 것은 수확 후 며칠 되지 않은 증거이므로 신선한 것이다!
[사과를 너무 많이 샀을 때 오래 보관하는 방법]
1. 박스를 준비한다.
2. 박스안에 모래를 채운다.
3. 모래 안에 사과를 묻는다.
- 이렇게 하면 냉장고 자리도 차지하지 않으면서 신선한 맛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 그리고 남는 사과를 하나 감자 사이에 넣어두면 감자에 싹이 나는 것도 막을 수 있다는 사실!! ^^
▣ 사과 영양밥
- 재료
: 사과1/2개, 쌀 2컵, 쇠고기 갈은것 50g 표고버섯 30g,
밤 대추, 양념장
1. 쌀을 씻어 물에 불린다.
2. 쇠고기 갈은 것과 표고버섯 채썬것을 마늘, 참기름, 간장, 후추로 밑간하여 식용유에 볶는다.
3. 밤은 껍질을 까고, 대추, 사과와 함께 채썬다.
4. 1의 쌀과 2의 쇠고기, 표고버섯, 3의 밤, 대추를 혼합하여 밥을 짓는다.
5. 밥이 다 되면 사과를 넣고 한번 저어서 뜸들인다.
▣ 사과 강정
- 재료 : 사과 1개, 밀가루 1컵, 식용유 1큰술, 설탕 150g, 물 약간, 달걀(노른자) 약간
1. 사과는 껍질을 제거한 뒤 반을 잘라 씨 부분을 도려내고 사방 3㎝크기의 다각형으로 썬다.
2. 달걀노른자에 사과를 넣어 골고루 버무린다.
3. 사과에 밀가루를 하나씩 묻힌다.
4. 사과를 다시 밀가루에 두 번 정도 반복하여 묻혀 놓는다.
5. 170℃ 튀김기름에 밀가루에 묻혀놓은 사과를 노릇하게 빨리 튀겨낸다
6. 팬에 기름을 둘러 달군 후 설탕 150g을 넣고 서서히 녹여 갈색이 나는 시럽이 되면 튀겨낸
사과를 넣어 재빨리 버무려낸다.
7. 사과를 버무릴 때 찬물을 약간 끼얹는다.
8. 사과는 서로 붙지 않게 한 뒤 접시에 담는다.
* 사과를 밀가루에 2~3번 정도 반복해서 묻혀야 튀김옷이 벗겨지지 않아요.
* 사과를 시럽에 버무릴 때 찬물을 약간 끼얹어 주세요.
======================
■ 사과의 효능
▷사과 하루 한 개로 알츠하이머병 예방!
치매를 일으키는 대표질환 알츠하이머병!! 미국 코넬대학에서는 사과에 든 풍부한 케르세틴 성분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사과를 하루에 한 개를 섭취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 뇌세포활성 높이는 사과!
사과를 섭취하면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는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사과에 든 항산화 물질이 기억력 감퇴 현상에 원인이 되는 뇌세포 손상을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사과에 대한 궁금증
▷사과는 피부에 좋은지 많이 알고 있어서 많이 먹는데 뇌에 좋다는 건 처음! 사과의 어떤 성분이 뇌에 좋은 걸까?
사과에는 케르세틴이나 비타민 C, 페놀산과 같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들의 작용으로 유해산소인 유리기로 인한 세포나 조직 손상을 막아준다. 즉 사과에 많이 들어있는 케르세틴이란 물질은 알츠하이머형 치매나 파킨슨병 등 뇌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데, 케르세틴은 혈장 속의 과산화지질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하여 세포의 노화 및 조직손상을 억제하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사과에 들어있는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물질로서 유리기(free radicals)로 인한 세포나 조직 손상을 막아준다. 그러므로 항산화 물질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는 학습능력이나 기억력이 올라갈 수 있다.
▷사과도 종류가 많아! 사과 종류나 색깔에 따라 그 효능도 차이가 있을까?
영양성분에 많은 차이가 많이 있지 않지만 푸른색 사과 보다는 빨간색 사과에 케르세틴이 더 많이 들어있다. 푸른색 사과는 빨간 사과에 비해 수분과 당분이 적다고 알려져 있으나 영양성분표를 보면 별 차이는 없고 열량이 여러 종의 사과 중 가장 적고 당분이 다른 사과에 비해 약간 적다.
▷과일은 껍질부분에 영양이 많은데, 사과도 껍질 채 먹는 것이 뇌에 더 도움이 될까?
사과의 껍질에는 과육보다 훨씬 많은 펙틴이 들어있고 사과의 비타민 C 대부분은 껍질과 껍질 바로 밑의 과육에 함유되어 있는 등 영양분 및 당분이 대부분 이 부분에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케르세틴은 사과의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껍질째 먹는 것이 좋다. 신선한 사과는 다른 과일이나 채소에 비해 케르 세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알츠하이머를 예방하는데 가장 좋은 음식!!
미국 코넬대 연구팀에 의하면 매일 사과껍질을 벗기지 않은 사과 1개를 먹으면 항암력이 커지고 세포파괴를 막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사과 껍질 채 먹는 게 좋기는 하지만 농약이 걱정! 농약 걱정 안 하는 방법 없을까?
과일이나 야채류의 경우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이 잔류농약이다. 이 잔류농약을 제거할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은 수돗물에 5분 정도 담가 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문질러 씻는 것이다. 이 경우 채소는 약 55%, 과일은 약 40% 잔류 농약이 제거된다.
숯, 식초, 소금을 탄 물에 야채와 과일을 씻는 사람이 많은데, 농약은 대부분 지용성(기름에 잘 녹는다)이므로 식초나 소금, 숯을 물에 타서 씻는다고 농약이 더 많이 제거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청 잔류화학물질과에서 실험한 결과, 물로만 씻는 경우나 식초나 소금물에 씻는 경우, 야채 전용 세제로 씻는 경우 등이 농약의 제거 정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만약 사과를 껍질째 먹는다면 꼭지 근처 움푹 들어간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농약이 잔류하므로, 이 부분을 먹지 않는 게 좋다.
▷사과는 아침에 먹으면 금!! 밤에 먹으면 독!! 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뇌를 좋게 한다면 시도 때도 없이 먹어야 할 것 같다! 밤에 먹으면 진짜 안 되는 걸까?
아침에 일어나서 먹는 사과는 심신을 상쾌하게 할뿐만 아니라 위의 활동을 촉진시켜 위액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소화 흡수를 돕는 등 하루의 에너지원이 되기 때문. 그러나 사과는 성질이 차고 섬유질이 많아서 장을 자극하여 배변과 위액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밤에 먹으면 속이 쓰리거나 뱃속이 불편해서 잠을 푹 잘 수 없게 될 수도.. 그러므로 사과를 아침에 먹으면 금, 밤에 먹으면 독이라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사과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과일은 대개 아침에 먹는 게 좋다.